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독소 불가침조약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[[독소관계|독일-소련 관계]]의 형성과 파국 == [[바이마르 공화국]] 시절 [[독일]]과 [[소련]]은 [[제1차 세계 대전]] 이후 겉으로는 서로 대립하는 듯 보여도 군사적으로는 긴밀히 협력하는 [[우방국]]이었다.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으로서 [[베르사유 조약]]으로 인해 항공 전력, 전차 등의 보유가 금지되었고, [[국제 연맹]] 가입 또한 거부당하고 있었다. 소련 역시 [[사회주의]] 국가였기에 국제 사회에서 왕따당하는 처지였다. 이러한 상황의 타결책을 모색하던 독일과 소련의 이해 관계가 접점을 이루면서 독소 양국은 1922년 [[라팔로 조약]]이라는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.[* 라팔로 조약 이후 1925년에 [[게오르기 주코프]]와 [[에리히 폰 만슈타인]] 등 미래의 원수들이 양국을 방문했다.] 독일은 소련에 여러 선진 군사 기술을 제공하고, 소련은 항공 전력과 탱크 등의 보유 및 개발이 금지된 독일에 비밀리에 신기술 연구 및 군사 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을 자국 영토 내에 제공하는 등 서로 편의를 많이 봐주었다. 아울러 양국 모두 [[폴란드 제2공화국|폴란드]]라는 가상 적국에 대한 견제가 필요했다. 독일은 국경 인정 문제로, 소련은 1920년 [[소비에트-폴란드 전쟁]] 이후로 폴란드와 사이가 안 좋았다. 하지만 우호적이던 독일과 소련의 관계는 히틀러가 집권하면서 점차 악화되기 시작한다. [[코민테른]]을 통해 스탈린의 명령을 따르던 [[독일공산당]]도 나치보다는 온건한 좌파정당인 [[독일사회민주당]]에 대한 공격에 더 힘을 쏟았다. 하지만 히틀러가 [[수권법]]을 통해 총통에 오르고 양대 좌파정당을 해산시키자 스탈린도 독일의 상황을 주시하고 스탈린은 1935년 비밀리에 러시아어로 번역된 히틀러의 저서인 [[나의 투쟁]]을 읽고 나치가 궁극적으로 노리는 것은 소련이라는 것을 알아차렸고, 당시 유럽 주요국 정치가 가운데서는 히틀러가 세계대전을 일으킬 수 있는 미친광이라는 것을 가장 먼저 깨닫게 되었다. 그 이후로 스탈린과 소련 외교부 (외무장관 리트비노프)는 나치를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게 되었고, 서방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시작하여 나치에 공동으로 대처할 방안을 궁리한다. 독소 양국은 [[스페인 내전]]에서 간접적인 전쟁까지 치르게 되어서 더욱 나빠지게 된다. [[파일:1937 파리 엑스포 독일-소련.jpg]] 독일-소련 관계를 나타내는 [[1937 파리 엑스포]] 때의 사진. [[1941년]] [[독소전쟁]]의 [[리허설]]이라고 불리는 사진이다. 왼쪽이 [[나치 독일]]의 독일 국가관, 오른쪽이 소련의 소련 국가관이다. 소련은 [[낫과 망치]]를 들고 있는 [[노동자]]를, 독일은 세계를 내려다보는 [[국가수리]]를 형상화했다. 이 당시 두 열강은 [[스페인 내전]]이란 전장에서 [[대리전]]을 한창 치르는 중이었다. 중간에 위태로운 듯이 낀 [[에펠 탑]]이 당시 전 세계적으로 [[극우]], [[극좌]] 사이에서 위태롭던, 역사학자 마크 마조워의 말을 빌리자면 [[자유민주주의]]의 위기를 보여주는 듯하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